충청북도 부지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청북도 부지사는 충청북도지사를 보좌하는 직위로, 행정부지사와 정무부지사, 경제부지사로 구분된다. 현재 행정부지사는 정선용, 정무부지사는 김수민이다. 1945년부터 1995년까지 충청북도 부지사, 참여관, 민정관 등이 있었으며, 1995년부터는 행정부지사와 정무부지사 체제로 운영되었다. 정무부지사는 도지사의 정무적 판단과 결정을 보좌하며, 2012년부터 2014년, 2019년부터 2022년까지는 경제부지사로 명칭이 변경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북도 부지사 - 이종배
이종배는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에 입문하여 음성군수, 청주시 부시장, 충청북도 행정부지사, 행정안전부 제2차관 등을 역임하고 충주시장 보궐선거를 거쳐 현재 국민의힘 소속 4선 국회의원이다. - 충청북도 부지사 - 한창섭
한창섭은 상주고등학교, 연세대학교, 서울대학교, 버밍엄 대학교를 졸업하고, 행정고시 합격 후 총무처 사무관으로 공직에 입문하여 행정안전부 차관, 장관 직무대행을 역임했으며,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하고 현재 국민의힘 경기도당 고양시 갑 당원협의회 위원장으로 활동한다. - 충청북도청 - 충청북도지사
충청북도지사는 충청북도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자치단체장으로, 과거에는 관선제로 임명되었으나 1995년부터 주민 직선제로 선출되며, 다양한 정당 소속 후보들이 당선되었고, 현재는 국민의힘 김영환이 도지사이다. - 충청북도청 - 충청북도도로관리사업소
충청북도도로관리사업소는 충청북도의 도로 관리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1922년 충청북도토목관구사업소로 시작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사업소장, 행정지원과, 도로관리과 등으로 구성되어 충청북도 내 도로의 유지보수, 시설물 관리, 안전 점검 등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관직과 칭호 -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경제 및 재정 정책 수립과 예산 관리 등 기획재정부의 주요 업무를 관장하는 국무위원이다. - 대한민국의 관직과 칭호 -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는 검찰총장을 보좌하며, 검찰총장의 부재 시 직무를 대행하며, 정권의 성격과 검찰 개혁 추진 상황에 따라 그 역할과 위상이 변화해왔다.
충청북도 부지사 | |
---|---|
직위 정보 | |
직위명 | 충청북도 부지사 |
임명권자 | 대한민국 대통령 |
소속 | 대한민국 충청북도 |
직급 | 고위공무원단 |
임기 | 3년 |
역할 | 충청북도지사를 보좌하여 도의 사무를 총괄하고, 도지사가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
겸임 | 행정부지사, 정무부지사 (2인) |
역대 부지사 | |
초대 | 김수현 |
현직 | 김명규 |
임명 관련 법령 | |
근거 법률 | 지방자치법 |
관련 법규 | 지방자치법 시행령 |
고위공무원단 직위 |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하는 직위의 직무등급 |
2. 현직 부지사
직책 | 이름 |
---|---|
행정부지사 | 정선용 |
정무부지사 | 김수민 |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미군정기와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충청북도지사는 있었지만, 충청북도 부지사는 임명되지 않았다. 1964년 부지사 제도가 도입되었고, 1995년 지방자치제 시행 전까지는 일반적인 부지사 제도로 운영되었다.
3. 역대 부지사
1995년 지방자치제가 시행되면서 부지사는 행정부지사와 정무부지사(이후 경제부지사 등으로 변경) 두 명으로 나뉘었다. 행정부지사는 국가직 고위공무원으로 임명되어 도청의 행정 업무를 총괄하고, 정무부지사는 지방별정직 고위공무원으로 도지사의 정무적 판단을 보조한다.[1]
3. 1. 충청북도 부지사 (1945년 ~ 1946년, 1964년 ~ 1995년)
1945년 8월 16일부터 9월 2일까지 최창홍(崔昌弘)이 조선총독부 충청북도 참여관 및 광업국장을 겸직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구연직(具然直)이 1945년 9월 2일부터 1946년 5월 9일까지 초대 충청북도 민정관을, 로널드 에디슨 머피가 1946년 5월 10일부터 1947년 8월 29일까지 2대 민정관을 역임하였다.[1] 1964년 부지사 제도가 도입된 이후 역대 충청북도 부지사는 다음과 같다.
3. 1. 1. 조선총독부 충청북도 참여관 (1945년)
최창홍(崔昌弘)은 1945년 8월 16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조선총독부 충청북도 참여관 및 광업국장을 겸직하였다.3. 1. 2. 충청북도 민정관 (1945년 ~ 1946년)
구연직은 1945년 9월 2일부터 1946년 5월 9일까지 초대 충청북도 민정관을 역임하였다. 2대 민정관은 로널드 에디슨 머피로, 1946년 5월 10일부터 1947년 8월 29일까지 재임하였다.[1]3. 2. 충청북도 행정부지사 (1995년 ~ 현재)
대수 | 이름 | 임기 |
---|---|---|
1대 | 나기정 | 1995년 7월 1일 ~ 1997년 4월 30일 |
2대 | 구돈회 | 1997년 5월 17일 ~ 1997년 10월 10일 |
3대 | 한대수 | 1997년 10월 20일 ~ 1999년 11월 2일 |
4대 | 유의재 | 1999년 11월 3일 ~ 2002년 7월 14일 |
5대 | 안재헌 | 2002년 7월 15일 ~ 2003년 3월 2일 |
6대 | 김영호 | 2003년 3월 6일 ~ 2005년 4월 24일 |
직무대리[9] | 이재충 | 2005년 4월 25일 ~ 2006년 3월 5일 |
7대 | 이재충 | 2006년 3월 6일[10] ~ 2007년 9월 30일 |
8대 | 이종배 | 2007년 10월 1일 ~ 2009년 3월 11일 |
9대 | 박경배 | 2009년 3월 12일 ~ 2010년 9월 12일 |
10대 | 박경국 | 2010년 9월 13일 ~ 2012년 11월 25일 |
11대 | 신진선 | 2012년 11월 26일 ~ 2014년 3월 18일 |
12대 | 정정순 | 2014년 3월 19일 ~ 2015년 6월 12일 |
13대 | 박제국 | 2015년 6월 15일 ~ 2016년 6월 19일 |
14대 | 고규창 | 2016년 6월 20일 ~ 2018년 7월 30일 |
15대 | 한창섭 | 2018년 7월 31일 ~ 2019년 12월 15일 |
16대 | 김장회 | 2019년 12월 16일 ~ 2021년 4월 30일 |
17대 | 서승우 | 2021년 5월 1일 ~ 2022년 5월 9일 |
직무대리 | 신용식 | 2022년 5월 10일 ~ 2022년 7월 24일 |
18대 | 이우종 | 2022년 7월 25일 ~ 2023년 7월 28일 |
19대 | 정선용 | 2023년 9월 4일 ~ |
3. 3. 충청북도 정무부지사 (1995년 ~ 현재)
1995년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 충청북도 정무부지사는 지방별정직 고위공무원으로, 도지사의 정무적 판단과 결정을 보좌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충청북도 정무부지사는 2012년 12월 28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2019년 12월 27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는 경제부지사로, 2014년 7월 1일부터 2017년 11월 5일까지, 2017년 11월 7일부터 2019년 12월 27일까지는 다시 정무부지사, 그리고 2024년 9월 2일부터 다시 정무부지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대수 | 이름 | 임기 |
---|---|---|
직무대리 | 김광홍 (金光弘) | 1995년 7월 1일 ~ 1995년 11월 27일 |
1대 | 김광홍 (金光弘) | 1995년 11월 28일 ~ 1998년 1월 13일 |
2대 | 조성훈 (趙誠勳) | 1998년 1월 14일 ~ 1998년 3월 7일 |
직무대리 | 조영창 (趙永昌) | 1998년 3월 8일 ~ 1998년 3월 12일 |
3대 | 김영회 | 1998년 3월 13일 ~ 1998년 6월 30일 |
4대 | 조영창 (趙永昌) | 1998년 7월 9일 ~ 2001년 6월 30일 |
5대 | 남상택 | 2001년 7월 4일 ~ 2003년 12월 3일 |
6대 | 한범덕 (韓凡悳) | 2003년 12월 3일 ~ 2006년 1월 25일 |
직무대리 | 박경국 (朴景國) | 2006년 1월 26일 ~ 2006년 6월 26일 |
서리 | 노화욱 (盧和旭) | 2006년 6월 27일 ~ 2006년 7월 9일 |
7대 | 노화욱 (盧和旭) | 2006년 7월 10일 ~ 2008년 5월 30일 |
8대 | 이승훈 | 2008년 6월 2일 ~ 2010년 6월 29일 |
9대 | 김종록 (金鍾錄) | 2010년 7월 8일 ~ 2011년 9월 15일 |
10대 | 서덕모 | 2011년 9월 21일 ~ 2012년 11월 22일 |
11대 | 설문식 | 2012년 11월 23일 ~ 2012년 12월 27일 |
12대 | 설문식 | 2014년 7월 1일 ~ 2017년 11월 5일 |
13대 | 이장섭 | 2017년 11월 7일 ~ 2019년 12월 27일 |
14대 | 김명규 | 2022년 9월 1일 ~ 2024년 9월 1일 |
15대 | 김수민 | 2024년 9월 2일 ~ |
3. 3. 1. 충청북도 경제부지사 (2012년 ~ 2014년, 2019년 ~ 2022년)
대수 | 이름 | 임기 |
---|---|---|
1대 | 설문식 | 2012년 12월 28일 ~ 2014년 6월 30일 |
2대 | 성일홍 | 2019년 12월 27일 ~ 2022년 8월 31일 |
참조
[1]
웹인용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하는 직위의 직무등급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4-11-19
[2]
웹인용
지방자치법 시행령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6-01-12
[3]
뉴스
http://newslibrary.n[...]
1966-11-16
[4]
뉴스
http://newslibrary.n[...]
1967-08-21
[5]
뉴스
http://newslibrary.n[...]
1967-09-05
[6]
뉴스
http://newslibrary.n[...]
1973-08-08
[7]
뉴스
http://newslibrary.n[...]
1973-12-03
[8]
뉴스
http://newslibrary.n[...]
1987-02-14
[9]
뉴스
국무조정실 外
http://www.fnnews.co[...]
2005-04-25
[10]
뉴스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